개요

기후변화와 에너지위기 대응으로써 국내 에너지 소비의 절반을 차지하는 제조 사업장의 에너지관리는 필수입니다.

정부(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 사업장의 에너지 이용 합리화의 일환으로 규제 측면이 아닌 적극적인 에너지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표준 플랫폼 개발 및 실증” R&D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개발기간 2020~2024, 정부출연금 244억원)

K-FEMS는 제조 사업장의 에너지관리시스템 표준화와 보급 확대를 위하여 개발된 결과물이며, 정부의 KEEP+ 사업, 에너지경영시스템 보급사업(가점 부여)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제조 사업장 에너지관리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K-FEMS는 다양한 공정/업종/규모/설비를 아우르는 표준체계와 데이터수집/분석/제어까지 일관 체계를 갖추고 전사관점의 토탈 에너지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요 특징

  FEMS 표준 프레임워크 구성 : Composable Architecture(MSA: Micro Service Architecture, 모델 및 서비스 기능 모듈의 조합/패키징)

  FEMS 국내외 표준 제정 : ITU-T SG5 표준 승인(문서번호: ITU-T SG5 L.1260), SGSF 단체표준 4건 제정

  FEMS 비즈니스 생태계 지원 : FMP(FEMS Market Place, 기능모듈 구성 및 구매), FOS(FEMS Operation System, 고객응대), FCS(FEMS Cloud Service)시스템 구성

 주요 기술

IT / OT / IoT 기술에 공정/설비 엔지니어링 노하우를 접목하고 에너지 특성을 반영한 에너지관리 기술입니다.

* IT(Information Technology), OT(Operation Technology), IoT(Internet of Things)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기반 프레임워크 기술

    - MSA로 기능의 모듈화, Container 기능으로 배포 자동화

    - JAVA 기반과 Python 기반의 Application Framework 구성

    - UI Framework : Chart/Grid/Symbol 및 UI Studio 제공

  IoT(Internet of Things) 기술

    - Edge Gateway : OPC UA 등 9종 이종프로토콜 처리

    - DAS (Data Acquisition System) : 실시간 데이터수집시스템

    - TSDB (Time Series Database) : 실시간 시계열유

    - Analytics Hub : 실시간 데이터 기반 에너지 분석 툴

  FEMS 무선 네트워킹기술(공장 내 원격 및 네트워킹 험지구간 적용)

  에너지 플랫폼으로서 타 시스템 연계

 주요 기능

에너지 사용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통하여 에너지 효율화 및 로스 제거를 통한 절감방안을 제시합니다.

  EPI(Energy Performance Indicator) 제공

    - 실시간 에너지 원단위 분석으로 이상상태 검출, 원인분석 지원

    - 공정별/제품별 에너지 원단위 분석

    - 전력 부하 식별을 통한 실가동 원단위 분석

  AI를 활용한 에너지 분석

    - 데이터 신뢰성 처리(무결성, 유효성, 정합성)

    - Baseline 모델링 및 영향변수 도출

    - 상관성분석/원인분석

  에너지 발란스 분석

    - 계통 에너지 발란스

    - 공정/설비 에너지 발란스

  온실가스관리(Inventory 구축, BAU 산정 및 예측)

  ESG지원(Renewable Insight Explorer, LCI 등) 등

  전력 SCADA제공(웹기반 중소공장 직접 구성가능, 역률/과전압/과전류)